-
화성남 금성녀는 그냥 붙여진 말이 아니었다...골판지 2015. 7. 3. 15:12<화성에서 온 남자 금성에서 온 여자>라는 책은 지금도 남녀 차이이 관한 이야기를 할 때 종종 등장하곤 하는 이 분야 스테디셀러.
하지만 나는 읽지 않아 왜 저런 제목을 지었는지는 몰랐는데
오늘 우연히 사전을 찾다가 알았다.
일일사전 앱에서 きんせい라고 입력하자 이런 발음을 갖는 동음이의어들이 몇 개 떴는데 그 중 金星이 있었고 '♀'라는 기호도 같이 뜬 것. 찾아보니 이 기호가 여성뿐 아니라 '금성'을 뜻하기도 한다고. '그렇다면...?'하고 바로 かせい(火星)를 입력하자 역시나 '♂'가 같이 뜬다. 남성뿐 아니라 화성도 뜻한다고 한다.
좀 더 찾아보니
둘다 고대 점성술에서 쓰인 기호와 상관이 있다고 한다. 고대 그리스에서,
금성(미의 여신 비너스)=행성기호 파이(φ)=이를 거울 모양으로 형상화한 ♀
화성(군신 마르스)=행성기호 델타(δ)=이를 창의 모양으로 형상화한 ♂
화성녀 금성남? 화성남 금성녀? 인지 늘 헷갈렸는데 이젠 안 그럴것 같다. ㅎ